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인천 버스 1200

덤프버전 :

||
공항
광역
좌석
급행
간선
지선
마을
[ 펼치기 · 접기 ]

광역급행
서울역
강남역
9500[A]
9501[A]
9802[A]
기타
3000
(신촌역)
7700[B]
(화곡역)
[A] : 강남역을 중간 정류장으로 경유하는 노선
[B] : 별도의 등급과 운임 체계를 사용하는 간선급행버스 노선



파일:in1200-us.png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4.1. 일평균 승차인원
5. 연계 철도역
6. 둘러보기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인천광역시 휘장_White.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1200번
[ 지도 노선도 보기 ]
파일:1200_인천_0116기준.png
기점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(범양아파트(종점))종점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1가(서울역)
종점행첫차05:00기점행첫차06:00
막차평일 00:00
주말 23:30
막차평일 01:00
주말 00:30
평일배차30~60분주말배차40~60분
운수사명선진여객인가대수8대
노선범양아파트(종점) - 가좌3동행정복지센터 - 건지사거리 - 산곡동입구(롯데마트) - 청천푸르지오아파트 - 부평구청 - 굴포천역(부평농협) - 삼산월드체육관 - 중동IC -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- 서운JC - 경인고속도로 - 신월IC - 선유고등학교 - 양화대교 - 합정역 - 홍대입구역 - 동교동삼거리 - 신촌오거리.현대백화점신촌점 - 신촌오거리.2호선신촌역 - 이대역 - 충정로역 - 서울역


2. 개요[편집]


선진여객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으로, 왕복 운행거리는 72.4km다. 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  • 인천가좌 - 서울[1] 시외버스가 전신으로, 이 노선은 1969년 4월 12일에 한진고속에서 운행을 개시한 한국 최초의 고속버스동인천역-서울 간 노선에서 시작한 역사와 전통의 노선이다.

  • 2004년 1월 12일에 1100번의 개통과 함께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다. 전환 당시에는 상동 - 현대백화점 - 부천시청 - 약대동 - 부천IC 구간으로 운행했다.

  • 얼마 안 가 부천 구간이 폐지되고 중동IC에서 곧바로 서울로 가게 되었다.

  • 2005년 9월 1일부터 삼보아파트, 산곡동성당, 부평경찰서에 정차하게 되었다.

  • 2006년 4월 1일부터 충정로역에도 정차하게 되었다.

  • 2012년 1월 9일 차고지 변경에 따라 기점이 가좌진주아파트에서 미주탕으로 변경되었고, 건지사거리 정류장이 추가되었다.

  • 2016년 3월 5일에 신동아교통으로 매각되었다.

  • 2016년 4월 15일에 범양아파트 - 가좌고 - 진주아파트 - 건지사거리 구간이 연장되었으며, 기점이 범양아파트로 변경되면서 미주탕으로 가지 않게 되었다. 이로써 4년 만에 가좌진주아파트 정류장이 부활하게 되었다.

  • 2021년 10월 13일에 선진여객으로 이관되었다.


4. 특징[편집]


  •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.

  • 가좌2동, 산곡동, 갈산동, 삼산동에서 서울역과 서울 도심을 이어주는 광역버스 노선이다. 하지만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중에서도 가장 정체가 심한 중동IC를 지나고, 경인고속도로국회대로 등 막히는 구간을 많이 지나기 때문에 서울역까지 꽤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. 지하철을 타면 훨씬 빠르게 갈 수 있다.

  • 배차간격이 30~60분 정도로 상당히 긴 편이다. 한번 놓치면 1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이용시에는 운행 정보와 대체 노선을 미리 확인한 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. 삼산동은 87번을 타고 부천시청역으로 가면 다른 서울역행 광역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.[2]

  • 회차지 막차 출발시각은 평일에 한해 익일 01:00이다. 2020년 초 수많은 인천 광역버스의 막차시각이 단축되며 막차시각이 가장 늦은 노선이 되었다.

  • 서울역에서는 고양 버스 1200과 헷갈릴 수 있다. 이 노선은 서울역전우체국 앞에, 고양 1200은 숭례문 정류장에 정차한다.

4.1. 일평균 승차인원[편집]


인천광역시 광역버스 1200번
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
2018년1,127명-
2019년1,009명▽ 118
2020년745명▽ 264
2021년511명▽ 234
2022년757명△ 246
※ 하차인원 미포함
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

6. 둘러보기[편집]


파일:인천광역시 휘장.svg 인천광역시 공영제, 준공영제 미참여 버스노선
[ 펼치기 · 접기 ]

공항
6770[통]
6777[통]
6777-1[통]
광역
간선
마을
[통]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



파일:인천광역시 휘장.svg 자동차전용도로 경유 인천광역시 시내버스


[1] 연안부두 - 용현동 - 동인천 - 송림동 - 가좌, 산곡, 청천, 부평공단 순으로 운행하던 노선이 가좌IC기준으로 분리되면서 신설된 노선[2] 1300번, 1301번, 1302번, 1601번을 이용할 수 있다.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9에서 가져왔습니다. 이전 역사 보러 가기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[ 펼치기 · 접기 ]
문서의 r69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14 23:42:09에 나무위키 인천 버스 12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